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부지원, 경제

미국 디폴트 X-DATE 연기. 달러 기축통화 지위 흔들리나? 미국 부채한도 협상 미국의 부채한도 상향 협상이 진행 중입니다. 미국 정부의 돈이 바닥하는 시점, X-DATE를 재닛 예런 재무장관은 6월 1일로 제시했습니다. 그러다 어제 6월 5일로 X-DATE를 변경했습니다. ▶ 미국 X-DATE 기존: 6월 1일 변경: 6월 5일 미국의 인프레이션을 2%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미국의 경제침체가 불가피하다는 의견과 현재 미국의 실업률과 경기상황은 경기침체의 가능성이 낮다는 전망차이가 있습니다. (자세히보기 : 클릭) 미국 기준금리 추가인상 IMF에서는 미국의 소비자 수요가 탄탄하고 노동시장도 건전한 상황이라고 평가하면서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경제성장 둔화와 고용감소가 발행해야한다고 지적했습니다. IMF에서 제시한 미국의 기준금리 수준은 5.25%애서 5.5%입니.. 더보기
23년 05월 한은 기준금리 동결, 배경과 이유 정리, 추이 그래프 한미 기준금리 차이가 1.75%로 역대급으로 높고, 경기가 위축된 상황에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에 관심이 모아졌습니다. 오늘 발표된 기준금리 결정 결과와 그 배경을 살펴보겠습니다. 결과 : 기준금리 동결 3.5% 오늘 오전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습니다. 3연속 기준금리 동결입니다. 2021년 하반기 0.5% 금리에서 급격하게 오르던 금리는 멈추게 되었습니다. 올해 하반기 금리인하 가능성이 있을까요? 기준금리 3연속 동결 : 3.50% 경제성장률 전망치 조정 : 1.6%→1.4% 배경 : 안좋은 경제상황 한미 기준금리 차이가 역대급 수준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한국의 경기가 위축되어 있는 상황에서 금리를 올릴 경우 금융이나 자산시장에 충격을 줄수가 .. 더보기
미국 경제침체? 불가피 VS. 가능성 낮다 6월 1일로 데드라인이 정해진 미 정부의 부채한도 협상과 연준의 6월 기준금리 결정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런 와중에 미국 경제 침체에 대한 상반된 기사가 있어서 살펴보았습니다. 버냉키 : 불가피 블랙록 : 가능성 낮음 미국 경제침체 가능성 어떻게 보시나요? 전 연준의장 벤 버냉키와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이야기를 보겠습니다. 밴 버냉키, 경제침체 불가피 미 연준의 전 의장이었던 벤 버냉키는 인플레이션 2% 수준 달성을 위해서 경기침체가 불가피하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최근 인플레이션율이 둔화되고는 있지만 초과 노동수요 환경에서 고임금과 고물가가 지속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물가는 지속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입니다. 지속적인 고임금과 물가 상승의 악순환을 끊어내기 위해서는 경기침체가 .. 더보기
23년 하반기 환율 전망 (5월 한은 기준금리 결정 예정)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이는 현재 1.75%입니다. 연중 최저 환율 수준 어제 23일 환율은 장중 1308.1원까지 떨어졌습니다. 오랜만에 1310원 이하의 환율을 보였는데요, 그 이유를 살표보겠습니다. 미 연준의 긴축 종료 전망 미 정부 부채한도 협상 해결 기대감 반도체 중심의 외국인 주식 매수 증가 하반기 원화 약세 둔화 전망 원화는 최근 다른 통화대비 약세를 보였습니다. 중국 수출 부진 때문이었는데요, 하반기에는 여러 이슈의 해결로 원화 약세가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 경기 정상화 반도체 수출 회복 미국 경기 연착륙 미중 갈등과 미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으로 하반기 환율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도 있습니다. 미중 갈등의 지속 또는 심화로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이 감소하여 무역수지 적자가 .. 더보기
미국 디폴트, 부채한도 데드라인 임박 및 한미기준 금리 상황 정리. 경고 : 6월 1일 미국 정부 디폴트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장관은 6월 1일부터 정부의 모든 청구서에 대해 채무불이행 시한이 될 것이라고 경고 했습니다. 주요 미지급 부분은 사회보장에 해당하는 노인, 군인 및 공부원 급여입니다. 미국 부채규모 : 31조 4천억 달러 한화 약 3경 8721조원 미국 정부의 부채한도는 이미 올해 1월에 초과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시간으로 어제 밤 부채한도 상향 3차 협상이 있었습니다. 결과 : 3차 협상 불발 우리나라 시간으로 어제 밤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부채한도 상한 논의를 위해 만났습니다. 3차 회동입니다. 3차 협상은 결렬되었습니다. 결렬 사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이유 : 공화당의 요구조건 미국 정부 부채는 약 31조 4천억 달러로 이미 올해 1월.. 더보기
1.5억원 손절매?, 카드론과 은행대출 연체율 증가 중 1억 5천만의 손절매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5월에 거래된 헬리오시티 이야기인데요, 이 매수자는 전용 49제곱미터를 작년 7월에 14억 4천만원에 매수 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5월에 12억 8천 5백만원에 매도를 했습니다. 불과 1년 만에 1억 5천만원이라는 큰 돈을 잃게 되었습니다. 매수 : 14억 4천만원 매도 : 12억 8천 5백만원 손해 : 1억 5천 5백만원 이를 두고, 이 매수자가 왜 매도를 했는지에 대한 추측 기사입니다. 먼저, 고금리 때문에 늘어난 원리금 상환 부담으로 손절매한 것이라는 추측이 있습니다. 손절매가 아니고 더 하락한 아파트를 사기위해, 갈아타기 하기 위해서 매도한 것이다 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손절매? 갈아타기? 어떤 의견이 더 맞는 것으로 보이나요? 둘 다 맞는 의견인 듯합니.. 더보기
지금 아파트 매수 시점? (삼프로TV 김기원 대표) 자산시장의 폭락을 기다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신문에서 자꾸 오른다고 하고, 거래량이 늘고 부동산 경기 살아난다고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볼 때마다 지금 빨리 사야하는 거 아닌가라고 불안한데요, 오늘은 삼프로TV에 출현한 리치고 김기현 대표의 분석을 살펴보겠습니다. 지금은 데드켓바운스 서울 주요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바닥을 찍고 상승 중입니다. 매매가와 전세가 둘 다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는 송파, 강남, 동작구가 강세이고, 전국적으로는 세종, 용인시 처인구, 성남 수정구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김기현 대표는 현재 시장을 데드켓 바운스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 이유를 알아볼까요? 서울 강세 : 송파, 강남, 동작구 전국 강세 : 세종, 용인시 처인구, 성남 수정구 20년 만에 처음있는 현.. 더보기
가계부채, 한계기업, 정부 세수부족 상황 정리 가계대출 연체 증가 우리나라 가계부채 규모는 지난해 말 1,867조에 달했습니다. 전세보증금까지 합산하면 가계부채 총액이 3,000조원에 가깝다고 합니다. 액수보다 GDP대비 비율이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는 102.2%입니다. 국제금융협회의 조사결과, 61개국 3번째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많습니다. 이 비율은 전세보증금을 제외한 가계부채입니다. 한국 가계부채 : 1,867조원 (22년 말 기준) 전세보증금 포함 : 2,925조원 (22년 말 기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0%를 넘는 나라는 4개국입니다. 스위스 127.4% 호주 111.1% 한국 102.2% 캐나다 100.8% 전세보증금을 포함한 가계부채 비율은 156.8%로 조사대상 국가 61개 중 1위로 올라섭니다. 주요선진..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