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외식 물가상승률은 7.6%였습니다. 이 수치는 1992년 5월의 5% 이후 가장 큰 상승률이라고 합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5월 11일에 발표한 올해 물가상승률은 3.5%입니다.
- '23년 4월 외식 물가상승률 : 7.6%
- '23년 물가상승률 전망 : 3.5%
하반기에는 소주 가격까지 오른다고 합니다. 음식점에서 소주 1병에 1만원까지 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우리나라의 술인 소주 가격이 왜 오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소주 100원 인상 전망
소주 1병에 100원이 오르면 식당에서는 1,000원이 오른다고 합니다. 서울의 주점에서는 소주 1병에 6천원에서 7천원까지 판매하고 있다고 합니다. 소주 가격 인상 원인은 주정 생산비용, 전기료, 공병가격이 주 원인입니다.
주정은 보리, 쌀 등을 발표시켜 만드는데, 소주는 희석식이라 주정과 물을 혼합해서 만들게 됩니다. 소주 회사들은 주정을 대한주정판매에서 구입하고 있습니다.
- 주정 생산비용 9.8% 인상
- 물류비 증가
- 고환율
- 공병 비용 증가
주정 비용은 작년 러우 전쟁으로 곡물가격, 물류비 등의 요인으로 이미 7.8% 인상되었습니다.
200원 인상 전망도
하반기에 소주 한 병 당 100원 이상 가격을 올린다고 합니다. 정부의 가격동결 지침 때문에 못 올린 부분까지 반영해서 올리는 건데요, 병 당 200원 인상되면 식당에서는 2천원 정도를 올리고, 소비자 가격은 만원 정도까지 될 수 있습니다.
고물가에 대표적인 배달음식인 치킨, 피자도 집에서 해먹는다고 합니다. 최근에 나온 간편식품의 맛이 좋아진 것도 이유가 될 듯합니다.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삼고초려도 아니고 은행 예금금리는 선반영으로 내려가고 있는데 물가는 내려갈 생각이 없어보입니다.
미국 기준금리 추가 인상 발언, 한국은행은?
오늘 아침에 유튜브로 SBS 뉴스를 봤는데요, '예금금리가 다시 2%대로 더 떨어지나?' 라는 제목이었습니다. 뉴스의 내용은 한 시민이 적금을 찾아서 다시 예금을 하려고 했는데 예금금리가 3%도 안
20220730.tistory.com
'정부지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아파트 매수 시점? (삼프로TV 김기원 대표) (0) | 2023.05.22 |
---|---|
가계부채, 한계기업, 정부 세수부족 상황 정리 (0) | 2023.05.22 |
기상이변 (물, 가뭄) 관련 주 (0) | 2023.05.19 |
재건축 시공사 선정 지연 이유는? (0) | 2023.05.19 |
미국 기준금리 추가 인상 발언, 한국은행은? (0) | 2023.05.13 |